전주·완주 통합단체가 전주시와 시의회에 완주 군민에 통합지원금 200만원을 지급해 줄 것을 건의했다.
전주·완주 통합을 추진하고 있는 완주·전주통합추진위원회(회장 성도경)와 완주·전주상생발전네트워크(회장 박진상)는 15일 완주 전주 통합추진위원회의 명의로 완주 군민 1인당 200만 원의 통합지원금을 전체 완주군민에게 지급해줄 것을 우범기 전주시장과 남관우 전주시의회 의장에게 건의했다.
완주·전주통합추진위원회와 완주·전주상생발전네트워크는 주민투표에서 통합안이 통과될 경우 카드로 1회차 100만원, 2회차 50만원, 3회차 50만원의 통합지원금을 지급해줄 것을 요청했다. 두 단체는 통합지원금이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전주·완주 지역 소비를 진작시키고, 통합의 궁극적 목적인 경제활성화에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했다.
두 단체는 우범기 전주시장과 남관우 전주시의회 의장의 현명한 판단을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전주시와 전주시의회의 대응이 주목된다.
완주·전주통합추진위원회와 완주·전주상생발전네트워크는 추석 연휴 기간인 지난 9일 시내 모처에서 긴급회동을 갖고 통합지원금 지급에 대해 격론을 벌이고 이같이 결정을 내렸다. 두 단체가 긴급회동을 가진 것은 그동안 청취한 완주군민의 여망을 점검하면서 통합지원금 지급에 대해 심사숙고할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되어 왔기 때문이다.
두 단체가 협상에 주력한 것은 통합지원금 지급과 읍·면별 현안사업 등에 관한 것이다. 우선 통합 추진 과정에서 가장 절실하게 다가온 것은 완주 지역경제를 살리며, 완주군민이 통합을 계기로 더욱 더 행복해지는 꿈을 실현하는 것이다.
두 단체에 따르면 대다수의 완주군민이 통합을 계기로 지원금을 지급하면 어려운 민생고를 해결하고 지역경제가 살아날 것이라고 호소하고 있다. 특별히 이재명 정부가 두 차례 민생지원금을 지원하면서 지역경제에 활력을 불어넣은 일은 완주군민의 통합지원금 지급에 대한 열망을 강하게 만들었다.
완주·전주통합추진위원회와 완주·전주상생발전네트워크는 이에 따라 통합지원금의 성격을 정부의 민생지원금과 같이 지역경제를 살리는 재정투자 겸 통합 과정의 일부 상실감을 보전하는 복지 지원으로 규정했다.
완주군민 가운데 25%가 65세 이상 어르신이고 이들의 경제적 어려움을 덜어주자는 의견이 지배적이었다. 두 단체는 완주군민에게 통합지원금을 지급하고, 소비처는 전주와 완주 지역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건의했다고 밝혔다.
두 단체는 또 통합지원금의 규모에 대해서도 격론을 벌였다. 통합시의 재정을 고려해 100만원을 지급하자는 안이 검토됐으나, 통합지원금이 가져올 경제적 효과 등이 미미하다는 주장이 제기돼 보류하기로 결정했다. 이에 따라 200만원을 지급하는 게 적정하다는 합의를 도출하게 됐다. 통합시 재정 여건 등을 고려해 1회차 100만 원, 2회차 50만 원, 3회차 50만 원을 지급하는 게 합리적이라는 판단을 내리게 된 것이다.
통합지원금 지급은 완주·전주통합추진위원회가 요청하고 완주·전주상생발전네트워크가 숙고하는 협상 절차를 거쳐 전주시와 전주시의회에 건의했다. 전주시와 전주시의회가 두 단체의 간곡한 건의를 신속하게 수용해줄 것을 아울러 건의했다. 30여 년 동안 어려움을 겪어온 전주·완주 통합이 이번 기회에 성사될지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장병운기자